N잡러 5월 종소세 세금 신고 간편하게 하는 방법, 종합소득세란?
본문 바로가기
사건 사고 이슈

N잡러 5월 종소세 세금 신고 간편하게 하는 방법, 종합소득세란?

by 오늘의 사건 2025. 5. 6.
반응형

“연말정산 했는데, 또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5월종소세-종합소득세-사업소득-부업-N잡러

 

 

 

사업·임대수입 있는 분이라면 꼭 봐야 할 ‘종합소득세’ 를 알아보려합니다.5월이 되면 뉴스나 문자로 "종합소득세 신고하세요!"라는 얘기가 자주 들리죠.

 

 


“어? 나 작년에 연말정산 다 했는데?”라고 생각하셨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될 거예요.특히 부업, 임대수입, 주식 배당금 등 월급 외에 수입이 있는 분들이라면 꼭 확인해보세요!

 



1. 연말정산 = 월급 정산 / 종합소득세 = 전체 수입 신고

 


연말정산은 회사를 통해 월급에 대한 세금을 미리 내고, 초과분은 돌려받거나 모자란 만큼 더 내는 절차예요.하지만 월급 외에 가게 수입이나 부동산 임대수입이 있다면,5월에 '종합소득세'라는 이름으로 별도 신고를 해야 합니다.

 



 예시)
김 씨는 회사에서 월급 5,000만 원 받고, 

개인 사업으로 3,000만 원을 벌었어요.


→ 연말정산은 월급 5,000만 원에 대해서만 진행되고,
→ 사업소득 3,000만 원은 5월에 따로 신고해야 해요!

 

 



2. '종합소득'이란?


한 해 동안 개인이 번 모든 돈을 합친 걸 말해요. 

 

예를 들면:

 

 

이자소득: 예·적금에서 나오는 이자

배당소득: 주식 투자로 받은 배당금

사업소득: 가게나 프리랜서로 벌어들인 수입

근로소득: 회사 월급, 상여금

연금소득: 국민연금, 개인연금 등

기타소득: 복권 당첨금, 강연료, 위약금, 경마 수익 등

 

 



3. 이런 경우엔 꼭 종합소득세 신고하세요!

 


 ① 사업소득 / 임대소득이 있다면?

 

금액 상관없이 무조건 신고 대상입니다.

부업이라도 반복적으로 수입이 있다면 ‘사업소득’이에요.월세 받는 집이 있다면 ‘임대소득’으로 신고해야 해요.

연 2,000만 원 초과 → 무조건 신고

2,000만 원 이하 → 분리과세 선택 가능

 

 


② 기타소득이 있다면?


강연료, 원고료처럼 일회성 수입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돼요.

1년에 300만 원 초과 시 →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

300만 원 이하면 → 신고 여부 선택 가능 (이미 세금 뗀 거면 끝)

 

 


 ③ 금융소득(이자·배당)이 많다면?


받을 때 15.4% 세금이 자동으로 빠져요.

연 2,000만 원 이하면 따로 신경 안 써도 돼요.

하지만 2,000만 원 초과 시 → 근로소득과 합쳐서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해요.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무신고 가산세: 내야 할 세금의 20%

납부 지연 가산세: 하루에 0.022%, 연 최대 8.03%

허위·누락 신고 시: 40%의 부당과소신고 가산세

환급을 과하게 받은 경우도 벌금이 생길 수 있어요.

 



4. 못 신고했을 땐? ‘기한 후 신고’로 빠르게 대응하세요!

 


1개월 이내 신고 시 → 가산세 50% 감면

3개월 이내 → 30%, 6개월 이내 → 20% 감면
👉늦더라도 빨리 신고하는 게 손해를 줄이는 길

 

 

5. 무료로 확인하려면? ‘국세청 원클릭’ 서비스!

 


국세청 홈택스에서 5년치 환급금까지 한 번에 확인 가능

개인정보 추가 제출 없이, 국세청이 보유한 자료로 자동 계산

세무사 안 써도 OK! → 수수료 없음, 무료!

 

 

 

마무리 요약


상황 종합소득세 신고 여부
사업소득 있음 ✅ 신고 필수
임대소득 2,000만 원 초과 ✅ 신고 필수
임대소득 2,000만 원 이하 선택 가능 

(분리 vs 종합)

 


기타소득 300만 원 초과 ✅ 신고 필수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 ✅ 신고 필수
월급만 있는 직장인 ❌ 연말정산으로 끝

 

 

 

 

 

댓글